연구분야

지방의정연구소 연구분야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.

연구 1.
자치 법규 정비(조례 제·개정)연구 
연구 주요 내용
연구 분야
  ❖ 지방의회 입법 지원 및 지방의정 활성화 방안
연구 주제
  ❖ 효율적인 지방자치단체 조례 제정 및
       개정 수행 방안 (특정 주제) 
연구 목적
  ❖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의회의 공공서비스 관리
      효율적관리 위한 조례 관리 
  ❖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적정성 검토를 통한 제·개정 방향 제언 
연구 개요
  ❖ 지방자치단체 각종 공공서비스 조례 현황 검토 
  ❖ 타 지방자치단체 조례 현황 및 관리 수준 사례 분석
  ❖ 공공서비스 조례 제개정의 기본 원칙 및 미흡 관리 현황 도출
  ❖ 지방자치단체 실무부서 의견 수렴을 통한 조례 관리 방향 설정
  ❖ 지방자치단체 조례 제·개정 분야 선정 및 제·개정 방향 제안
기대 효과
  ❖ 적정 조례 체계 구축을 통한 행정의 법정주의 구현
  ❖ 제도의 구축 및 정비에 따른 지방의회의 적극 의정활동 구현 
연구 기대효과
지방의회
✔ 지방정부 효율적 감독 
✔ 입법권한의 적정한 실현 
지방정부
✔ 제도에 의한 적극행정 실현 
✔ 조례에 의한 시민요구 반영 
지역 주민
✔ 간접적 입법권한 실현  
✔ 행정의 사각지대 완화 

*표를 좌우로 스크롤 해주세요.

·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 적정성 검토 기준 ·
기준
설명
검토 포인트
합법성
자치법규가 상위 법률과 모순되지 않는지 여부

- 상위법과의 일치

- 법적 근거의 존재 여부

목적의 적합성
법규가 지향하는 목적과 실제 내용의 일치 여부

- 법규 목적의 명확성

- 목적에 대한 내용의 부합 여부

체계성
자치법규 내용의 체계적 구성 여부

- 조문의 논리적 배열

- 내용의 체계적인 구성

실효성
법규가 실제로 현실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지 여부

- 집행 가능성

- 결과의 예측 가능성

적절성
법규 내용이 현실의 문제 해결에 적절한 해법을 제시하는지 여부

- 현실적 문제 인식

- 해결책의 적정성

형평성
모든 관련 대상에 공평하게 적용되는지 여부

- 동등한 적용

- 차별 금지

투명성
법규 제정 및 운용 과정의 개방성과 이해관계자의 참여 가능성

- 절차의 공개

- 참여 기회의 제공

유연성
법규가 시대 변화나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 여부

- 수정 및 개정의 용이성

- 적시적인 반응성

경제성
법규 집행에 따른 비용 대비 효과의 적절성

- 비용-효과 분석

- 재정적 부담 최소화

지속 가능성
법규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결과를 도모하는지 여부

- 장기적 효과 분석

- 환경적, 사회적 영향 고려

* 의회 연구회 일정을 고려한 방문 기획 및 진행 체계 수립 가능  

관련문의
02-943-1941
pami@pami.re.kr

회사소개     인재채용     고객지원     사이트맵   

개인정보처리방침     이용약관     찾아오시는 길


지방의정연구소  대표자명 : 배성기 

사업자등록번호 : 209-11-32634
주소 :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-2001

Tel : 02)943-1941 Email : pami@pami.re.kr 

Fax : 02-943-1948

통장번호 : 국민은행 016701-04-034210


Publish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Co.Ltd.

All Rights Reserved.



회사소개     인재채용     고객지원     사이트맵     개인정보처리방침     이용약관     찾아오시는 길


지방의정연구소  대표자명 :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: 209-11-32634

주소 :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-2001  Tel : 02-943-1941 Fax : 02-943-1948 

Email : lpi@lpi.re.kr   통장번호 : 국민은행 016701-04-034210


Publish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Co.Ltd. All Rights Reserved.